-
해부학은 크게 육안 해부학(gross anatomy, 거시 해부학)과 현미 해부학(미시해부학)으로 구분된다. 이 중 육안 해부학은 절개 등의 방법을 통해 별다른 장비 없이 맨눈으로 관찰할 수 있는 해부학적 구조물에 대한 학문이다. 해부학의 역사는 체내 기관들의 기능과 구조에 대한 이해가 시간을 두고 끊임없이 발전해 나간 것으로 규정된다. 해부학을 연구하는 방법 또한 크게 개선되어, 초창기 카데바(Cadaver, 시체)의 단순한 검진에서 발전하여 20세기 들어서는 X-레이, 초음파, MRI를 비롯한 여러 영상의학기술의 도움을 받고 있다. 이와 반대로, 현미 해부학은 현미경으로 관찰할 수 있는, 극히 작은 해부학적 구조에 대해 배우는 학문이다. 현미경해부학은 조직학(조직에 관해 연구하는 학문)과 세포생물학(세포에 관해 연구하는 학문)을 포함한다. 현미해부 학과 조직학은 같은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조직학과 세포생물학을 엄격하게 구분해 놓지 않은 경우). 해부학은 해부병리학(조직병리학)과는 다른 것으로, 구별해야 한다. 또한, 기원전 1550년경 에베르스 파피루스(Ewers Papyrus)는 특히 심장에 대한 부분에 대해 많이 연구했는데, 혈관은 인체 전체로부터 피를 받아오거나 내보낸다고 설명하였다. 해부병리학은 질병에 걸린 기관의 거시적·미시적 특징에 관해 연구하는 학문이다. 기원전 1600년, 고대 이집트의 의학서인 에드윈 스미스 파피루스(Edwin Smith Papyrus)에는 심장으로부터 뻗어 나온 혈관들과 간, 비장, 신장, 자궁, 방광 같은 장기들의 모습이 묘사되어 있었다. 고대 그리스시대에 쓰인 히포크라테스 전서에는 근육과 골격계에 관한 해부학이 담겨있다. 아리스토텔레스(Aristotle)는 동물의 해부 결과를 바탕으로 척추동물의 해부학에 대하여 저술하였고, 프락사고라스(Praxagoras)는 동맥과 정맥의 차이점을 구별해내었다. 또한, 기원전 4세기경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시대에는 헤로필로스(Herophilros)와 에라시스트라투스(Erasistratus)가 범죄자들의 인체 해부를 바탕으로 더욱 정확한 해부학적 저술을 했다. 고대 그리스 시대의 히포크라테스 전서에는 근육과 골격계의 해부학에 관하여 서술하였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동물들을 해부한 결과를 바탕으로 척추동물의 해부학에 대하여 저술하였다. 미국 의학 학교에서는 해부학체계를 18세기 말 세우기 시작했다. 그 과정에서 Ignaz Semmelweiss는 산욕 발열을 조사하고 어떻게 발생하는지 발견했다. 학생들은 산파가 아닌 의대생이 검사한 산모에서 치명적인 발열이 발생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비교해부학(比較解剖學, 영어: comparative anatomy)은 여러 생물의 해부를 통해 비슷한 점과 다른 점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진화생물학과 계통학(종의 진화)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학생들은 해부실에서 병원병 동으로 가 출산하는 여성을 검사했고 의대생들이 임상 시험 전에 염소화 석회에서 손을 씻었을 때 산모의 산욕 발열이 극적으로 줄어들 수 있음을 보였다. 비교해부학은 오랜 기간에 걸쳐 진화에 대한 증거로 삼아왔으며, 공통되는 조상을 공유하는 여러 생물을 분류한다. 또, 과학자들이 해부학적 구조에서 비슷한 특징을 지닌 생물들을 분류하는 데 도움을 준다. 비교해부학은 진화론으로도 알려진 다윈의 이론을 지지한다. 비교해부학의 일반적인 예로는 고양이, 고래, 박쥐, 인간이 지닌 앞다리나 앞지느러미의 비슷한 뼈 구조를 들 수 있다. 조직학(組織學, Histology)은 동물 및 식물의 세포와 조직에 관해 연구하는 현미 해부학의 한 분야이다. 해부학 수업에는 지속적인 카 주연 여가수(해부학을 위해 최고 여가수(해부학을 위해 프리마돈나(해부학을 위해 기증된 인체)의 체되 인체)의체)의 공급이 필요한데 이는 얻기 힘들었다. 일반적으로 세포와 조직을 절편으로 만들어 염색한 것을 관찰한다. 관찰 도구로는 광학현미경이나 전자현미경이 사용된다. 조직학 연구는 세포배양을 통해 수행되기도 한다. 필라델피아, 볼티모어, 그리고 뉴욕에는 야간에 묘지를 습격하여 새로 매장된 시체를 관에서 꺼내 가는 등의 범죄가 일어나기 시작했고, 영국에서도 시체에 대한 수요가 커져 시체를 얻기 위해 살인과 해부학적 살인이 행해졌다. 이러한 일은 1832년 해부학법(Antathomy Act of 1832)에 의해 중지되었다. 미국에서는 제퍼슨 의과 대학의 윌리엄 S. 포브스 (William S. Forbes) 박사가 1882년 공범자로 유죄를 선고받으면서 유사한 법안이 제정되었다. 해부학의 가르침은 1863년~1889년 버리든 대학의 교수인 John Struthers에 의해 발전되어 왔다. 1882년부터 의과대학에서 해부학 교육은 규제되었고 의료박물관은 해부학의 예시를 제공했고 가르침에 사용되었다. 그가 만든 시스템은 1993년과 2003년 의료 개혁까지 지속하였다. 교수법뿐만 아니라 70여 가지 연구 논문을 발표하고 의료박물관에서 많은 척수 골격을 수집했다. 세포배양이란 살아있는 세포가 독립적으로 유지, 번식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체외에서 배양하는 것을 의미한다. 조직학적 염색 방법을 사용하면 조직의 현미경적 구조를 시각적으로 더 확실하게 볼 수 있다. 조직학은 생물학과 의학의 주요 도구이다. "조직병리학"이란 병에 걸린 조직을 현미경적으로 연구하는 방법이다. 조직병리학은 암을 비롯한 여러 질병을 정확하게 진단하는 방법이 되기 때문에, 해부병리학의 주요 도구로 이용된다. 병리학자를 비롯한 전문 의학계열 종사자들은 조직병리학적 검사를 통해 병을 검진한다.
'생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화학의 생체분자 (0) 2019.11.24 생화학의 정의 및 역사 (0) 2019.11.20 생물학의 생태계 및 환경 (0) 2019.11.20 생물학의 연구 및 조사 (0) 2019.11.20 현대 생물학의 기초 (0) 2019.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