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스트 : 콘텐츠가 있으면 최근 5건을 불러옵니다.
-
생물학 분야의 출현생물학 2019.12.15 22:53
19세기까지 생물학은 형태와 기능(즉, 생리학)에 대한 문제를 연구한 의학과 생물과 생물, 생물과 환경 사이의 상호작용 및 생물의 다양성에 관해 연구한 박물학으로 크게 나누어져 있었다. 박물학이 세포생물학, 세균학, 형태학, 발생학, 지리학, 지질학과 같은 보다 전문화된 과학 분야들에 크게 영향을 주었지만 1900년까지 이들 학문 영역의 대부분은 서로 중첩되어 있었다. 19세기 초, 중반에 박물학자들의 광범위한 탐험을 통해 생물의 다양성과 분포에 대한 풍부하고 새로운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자연철학(즉, 물리학 및 화학)의 정량적 접근법을 사용하여 생물과 환경(즉, 박물학의 영역) 사이의 관계를 분석한 알렉산더 폰 훔볼트의 연구가 특히 중요하다. 훔볼트의 연구로 인해 생물지리학의 기초가 마련되었고, 여..
-
근대 초기 생물학의 발전생물학 2019.12.15 22:45
유럽의 르네상스로 인해 경험적 박물학과 생리학에 관한 관심이 증대되었다. 베살리우스는 일련의 해부학자 중 생리학과 의학에서의 스콜라주의를 경험주의로 점차 대체하고, 과거의 권위와 추상적 추론보다는 직접적인 경험에 의존한 첫 번째 해부학자였다. 1543년에 안드레아스 베살리우스는 시체 해부를 기반으로 한 인체해부학에 대한 저서 《인체 해부학 대계》(De humane corporas fabrics), 일명 《파프리카》(fabrics)를 통해 서양 의학의 근대 시대를 열었다. 또한, 본초학에 근거한 의학에서 약초의 이용은 새로운 경험주의에 바탕을 둔 식물 연구의 원천이 되었다. 오토 브룬펠스, 히에로니무스 보크 및 레온하르트 호크스는 야생 식물에 대한 광범위한 저작을 남겼으며, 이는 식물의 삶 전체를 자연에 ..
-
생물학의 역사생물학 2019.12.15 22:39
생물학(biology)이라는 단어는 "생명"을 뜻하는 그리스어 "βίος (BIOS)"와 "학문"을 뜻하는 접미사 "-logy"의 결합으로 형성되었다. 현대적인 의미에서 생물학이란 용어는 토머스 베도스 (1799년), 칼 프리드리히 부르다흐 (1800년), 고트프리드 라인홀트 트레비라 뉴스 (1802년), 장바티스트 라마르크 (1802년)에 의해 각각 독자적으로 도입된 것으로 보인다. 생물학이란 단어 자체는 1766년에 출판된 독일의 학자 미카엘 크리스토프 하노 우의 저서 《Philosophize naturalism Siva physical dogmaticae: Geologic, biologic, phytologia generals ET dendrologia》 제3권의 제목에 등장한다. 예를 들어 중국 ..
-
시스템생물학과 관련된 학문생물학 2019.12.15 22:31
전산학, 수학, 통계학, 화학 등의 다른 분야가 생명과학과 융합된 형태. 전산 생물학의 연구분야는 시스템즈 생물학과 중복되기도 한다. 주 연구분야는 서열정렬, 유전자 검색, 유전자 어셈블, 단백질 구조 정렬, 단백질 구조 예측, 유전자발현의 예측, 단백질 간 상호작용, 진화모델 등 다양하다. DNA 서열 분석 방법의 발달에 따라 현재 수많은 종의 게놈 서열이 밝혀져 있으며, 이로부터 만들어지는 RNA와 단백질에 대한 서열의 정보 또한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또한, 특정 조건에서의 유전자들의 발현량, 그들의 산물 및 상호작용들에 대한 정보가 transcriptomics, proteomics, metabolomics 와 같은 방법들을 이용하여 대규모로 얻어지고 있다. 이처럼 데이터의 양이 급격히 증가함에 따..
-
시스템 생물학의 개요와 역사생물학 2019.12.15 22:21
시스템 생물학은 최신 생물학의 한 갈래로 생체 동역학적 수리모델을 수립하고 경향을 탐구하려는 성격이다. 기존의 현대 과학은 구성 요소를 하나하나 분해하여 개별적인 기능을 알아내는 환원주의적인 방식을 통해 발전해왔다. 계생명학(系 生物學) 또는 시스템 생물학(Systems biology, SB)은 생명현상을 복합체로 규정하고 생물학뿐만 아니라 전산학, 수학, 물리학, 화학 등의 원칙을 사용하여 분석하고 모사 발명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학문이다. 예를 들어 특정 유전자를 없애서 나타난 반응을 통해 유전자의 기능을 유추해왔다. 그러나 사람의 몸은 수많은 유전자와 단백질, 다수의 화합물이 복잡한 반응을 통해 끊임없이 상호작용을 하고 있으므로 하나의 유기적인 시스템으로 볼 수 있다. 사람을 비롯한 모든 생명체는 ..